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남영주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Q1. 헌정사상 첫 현직 대통령의 체포라 구치소 경호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한데요. <br><br>원칙은 똑같습니다. <br> <br>현직 대통령인 만큼 경호 수준도 현직 대통령에 맞춰서 그대로 간다. <br><br>구치소를 경호구역으로 설정한 것도 그런 취지인데, 경호처의 구상과 현실이 잘 맞지 않는 상황입니다.<br><br>Q2. 일단, 경호구역 지정하면 뭐가 달라지는 거예요? <br><br>대통령 경호법에 뭘 할 수 있는지가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경호처의 수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경호구역을 스스로 정할 수 있고, 그러면 그 구역에서 경호를 위한 질서 유지, 검문, 검색은 물론 출입 통제도 할 수 있습니다.<br><br>Q3. 그런데 서울구치소를 출입통제할 순 쉽지 않겠네요. <br><br>서울구치소는 대통령실이나 관저와 달리 경호처가 집주인이 아니라는 데서 경호의 모순이 시작됩니다. <br> <br>경호처는 외부인이고, 구치소가 집주인이죠. <br> <br>구치소도 보안시설이고 경호 경비 등 나름의 시스템 있으니, 대통령 경호처가 원하는 수준의 경호를 용인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Q4. 그래서 실제 경호를 어떻게 하고 있어요? <br><br>경호처 직원 5명 안팎이 구치소 내부에 있긴 한데, 대통령과 아예 다른 건물에 있습니다.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보안청사에 있고, 여기서 수십미터 떨어진 담장 밖 사무동 3층에서 경호처 직원들이 대기하고 있습니다.<br><br>Q4. 수십미터 밖에 있다고요? 그럼 CCTV로 보는 겁니까? <br><br>그것도 아닙니다. <br><br>대통령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시설도 없습니다. <br> <br>교도관들이 관찰하다가 특이한 일 있으면 경호처 직원에게 연락을 주는 식으로 진행된다네요.<br><br>Q5. 그래도 현직 대통령이니까요. 그럼 구치소 측에서 대통령을 경호하나요? <br><br>특별히 그런 것도 아닙니다. <br> <br>교정당국은 대통령을 일반 수용자와 똑같이 대우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오늘 서울구치소 식단을 보면요. <br> <br>아침은 시리얼과 삶은 달걀, 점심은 자장면이었습니다. <br> <br>한 끼에 1600원인데, 대통령도 똑같이 이 메뉴를 먹었습니다.<br><br>Q6. 먹는 얘기하니까 갑자기 궁금한데, 원래 대통령은 물도 함부로 안 먹거든요? 경호처가 다 관리해서. 대통령 먹기 전에 경호처가 문제가 없는지 사전에 먹어보는 걸 검식이라고 하는데요. <br><br>대통령이 시장에 가서 자연스레 어묵 하나만 먹어도 사전에 다 검식하고 먹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구치소에서는 그런 절차도 없습니다.<br><br>정부 관계자는 "대통령 기미상궁도 아니고, 따로 살피진 않는다"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원래 수용자들에게 음식 제공되기 전, 구치소가 상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데, 똑같이 그 수준이라는 겁니다. <br><br>Q7. 그렇지만 현직 대통령인데요? <br><br>현실적으로 구치소는 대통령만 따로 경호하고 관리할 만큼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하더라고요.<br> <br>다만 4명의 대통령을 이미 받아본 교정당국의 노하우가 있으니 문제는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Q8. 대통령이 혹시 구속되면 어떻게 되나요? <br><br>경호처는 구속되더라도 역시 구치소는 경호구역으로 지정된다는데요. <br><br>현실은 지금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이 수사나 재판 출석으로 외부 이동할 때도 경호차량이 아니라 호송차량을 이용하게 됩니다. <br> <br>경호처는 앞뒤로 교통 에스코트 하는 수준입니다.<br> <br>현실적으로는 경호라기 보다는 경비 수준에 가까워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, 남영주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ichannela.com